티스토리 뷰
목차
국가에서 지원하는 평생교육이용권은 저소득층과 사회적 배려계층을 위한 학습 바우처 제도입니다.
최대 70만 원까지 지급되는 지원금은 어디에,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?
이 글에서는 지원금 금액, 사용 가능한 항목, 사용처 확인 방법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평생교육이용권 지원금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?
2025년 기준, 평생교육이용권은 기본 35만 원이 지급되며, 우수 이용자에게는 추가 35만 원, 총 최대 7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구분 | 지원 금액 | 비고 |
기본 지급 | 35만 원 | 모든 선정자 공통 |
우수자 추가 지급 | +35만 원 | 하반기 이수 실적 기준 |
총 최대 금액 | 70만 원 | 연 1회 기준, 환급 불가 |
- 지급 방식: NH농협 평생교육이용권 카드에 충전
- 사용 기한: 지급 연도 말까지 (2025년 12월 31일)
- 잔액 미사용 시 자동 소멸 (이월 불가)
우수자 기준은 수강 완료율, 출석률, 과제 참여도 등으로 평가됩니다.
어떤 곳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?
지원금은 등록된 평생교육기관 또는 디지털 강의 플랫폼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, 현금처럼 쓸 수는 없습니다.
사용 가능한 항목
- 강의 수강료 (학원, 온라인강의 등)
- 교재비 (지정된 도서 구매처만 가능)
- 자격증 과정 등록비
- 디지털 역량 교육 과정 수강료
- 노인 대상 문해교육 프로그램 비용
사용 가능한 교육기관 유형
⭕ 평생교육법상 등록 기관
- 시민대학,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, 비영리 평생교육시설
⭕ 온라인 학습 플랫폼
- 예: 에듀윌, 휴넷, 한능평 등 국가 등록 플랫폼
⭕ 지자체 지정 교육기관
- 지역 내 지정된 문화센터, 도서관, 교육센터 등
❌ 사용 불가 항목: 일반 인터넷 쇼핑, 도서 이외 용품, 식비, 교통비 등 비교육 항목은 결제 제한됨
사용 가능 기관 확인 방법
사용 전, 내가 가려는 학원이 정식 등록 가맹기관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다음 3가지 방법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①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
- 평생교육이용권 홈페이지 접속
- 상단 메뉴 → ‘사용기관 찾기’ 클릭
- 지역별/업종별로 필터 검색 가능
② 지역 평생학습 포털 이용
✔️ 각 지자체 평생학습 포털에서 연계기관 확인 가능
- 예: 서울시 평생학습포털, 경기도 지식(GSEEK) 등
③ 전화 상담
- 고객센터 1600-3005 또는 지자체 평생교육팀에 문의
- 실제 사용 가능한지 사전 확인 가능
함께보면 좋은 글
평생교육이용권 신청 자격 방법
평생교육이용권 카드 발급